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면역학

(4)
적응면역 반응(adaptive immunity) - 1차면역기관 vs 2차면역기관 병원체를 내제 면역으로 다 제거하지 못할 경우, B세포, T세포가 활성화돼서 작용하는 방어 기작 특정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면역 반을을 수행함 면역 기억을 해서 같은 병원체가 재감염 되면 더 강한 면역 반응을 일으킴 1. 1차면역기관 : B세포와 T세포의 생성 및 성숙 장소 (i) 골수 골수 속의 지지세포들이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들을 분비해서 골수 줄기 세포에서 B세포가 분화하고 성숙함 (ii) 흉선 골수에서 분화한 전구 세포들이 흉선으로 이동해서 T세포로 성숙함 2. 2차 면역기관 : B세포와 T세포의 활성화 장소 (i) 림프절 세포 사이액이 림프관을 통해 이동하다가 림프절로 유입됨 이때 피부나 점막의 상처 부위로 침투한 병원체들이 함께 이동하다가 림프절 안에 모여 있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감지됨 병원체..
내재면역(innate immunity) - 세포성반응(호중구,대식세포,NK세포,수지상세포) 세균 감염 시(세포 외 증식 병원체) (i) 호중구(Neutrophil) 조직에 상주하던 면역세포들의 신호에 의해 혈액에서 상처 조직으로 가장 먼저 유입됨 조직으로 대량 침투해서 식세포 작용을 하고 약간의 분해 과립을 방출함 엔도좀에서 NADPH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H2O2, NO 등의 독성 물질들을 만들어냄 이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산소 소모가 증가하는 호흡 돌발 현상이 나타남 병원체를 섭식하고 곧 죽어서 고름이 됨 대식세포가 오래 생존하면서 지속적으로 고름을 제거함 (ii) 대식세포(Macrophage) 미리 조직에 상주하거나 혈액을 떠돌던 단핵구가 조직 세포들의 유도 신호에 의해 상처 조직으로 유입돼서 대식세포로 분화함 조직에 침투한 세규이나 각종 찌꺼기들을 왕성하게 섭식하고 분해 과립을 방출함 호중..
내재면역방응(innate immunity) -화학적반응(보체활성,히스타민,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 화학적 반응(체액성) 1. 보체(complement system) (i) 대체 경로(alternative pathway) 세균이 유입되면 세균의 세포벽 성분 때문에 C3가 스스로 쪼개져 활성화돼서 세균 표면에 부착함 (ii) 렉틴 경로(lectin pathway) 일부 세균과 바이러스 표면의 만노오스에 MBL(Mannose-binging lectin)이 결합해서 활성화됨 (iii) 고전 경로(classical pathway) 병원체 표면에 IgM 또는 IgG 항체가 결합해서 Fc 부분에 구조 변화가 생김 > C1이 부착됨 IgM : 한 분자만 병원체 표면에 결합해도 C1을 활성화할 수 있음 IgG : 두 분자가 30~40nm 이내의 거리로 병원체 표면에 결합해야 C1을 활성화 할 수 있음 공통 경로 위의..
면역세포의 종류 - 골수계,림프계 골수계 호중구(neutrophil) 백혈구의 대부준을 차지함 세균 감염심 초기 대응을 위해서 조직으로 침투해 세균과 찌꺼기들을 섭식함 호중구 세포들이 조직에서 죽으면 고름이 됨 핵이 3~5개의 엽으로 보이며, 헤마톡실린& 에오신 염색 시 분홍색 과립이 관찰됨 호산구(eosinophil) 기생충 방어, 과민 반응 등에 관여함 과립을 분비하고 기생충이나 각종 찌꺼기를 섭식해 제거함 핵이 2개의 엽으로 보이며, 헤마톡실린 & 에오신 염색 시 붉은색 과립이 관찰됨 호염구(basophil)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해서 히스타민 과립을 분비함 핵이 2개의 엽으로 보이며, 헤마톡실린 & 에오신 염색 시 커다란 파란색 과립들이 관찰됨 비만세포(mast cell) 결합 조직에 상주하면서 염증 바능ㄹ을 일으키고, 알레르기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