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세포생물학

(7)
단백질 - (아미노산, 폴리펩티드구조) 단백질 다양한 기관, 효소, 호르몬 등 신체를 이루는 주성분으로, 몽에서 물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함 1. 아미노산 -단백질의 기본 단위 물질 -주로 체내 구조 물질로 사용, 에너지원으로는 드믈게 씀 (i) 종류 R기에 따라 20가지로 나뉨 -비대칭 탄소가 없는 글리신을 제외하고, 생체 내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L-형으로 관찰됨 필수 아미노산 : 인체가 직접 합성할 수 없어 꼭 섭취해야 함 -Ile, Val, Met, Thr, Phe, Leu, Trp, Lys, His (ii) 아미노산의 성질 등전점(Isoelectric point) : 물질의 알짜 전하가 0이 되는 pH 값 아미노산은 pH에 따라 -전하, +전하 , 중성 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아미노산의 전하가 0인 경우가 되는 pH가 등전점이다..
탄수화물-(단당류,이당류,다당류 구성 과 종류) 1.단당류 (i)5탄당 -리보오스 : RNA의 구성 성분, 2'-C에 하이드록시기가 연결됨 -디옥시리보오스 : DNA의 구성 성분, 2'-C에 하이드록시기 대신 수소가 연결됨 (ii)6탄당 :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아노머(Anomer) 당이 고리 구조를 형성할 때 새로운 비대칭 탄소가 생기면서 나타나는 이성질체(α-아노머 vs β-아노머) 6번 탄소인 '-CH2OH'기와 헤미아세탈(Hemiacetal)의 하이드록시기를 같은 반향으로 그린 것을 β-아노머로 정함 2.이당류 : 단당류 사이에 글리코시드 결합 형성 (i)엿당 : 포도당 + 포도당 (ii)젖당 : 갈락토오스 + 포도당 (iii)설탕 : 포도당 + 과당 3.다당류 (i)아밀로오스 vs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 식물 세포의 에너지 비축 물질,..
리소좀 관련 질환들 - 저장병(I세포질환, 테이삭스병, 폼페병, 고셔병) (i) I 세포 질환 (I cell disease, Inclusion cell disease)골지체에서 만노오스-6-인산이 표지된 단백질은 리소좀으로 이동함-단백질에 만노오스-6-인산 표지를 하는 N-아세틸글루코사민-1-인산전달효소(GlcNAc-1-phosphotransferase)가 결핍된 환자들은 어떤 가수분해 효소도 리소좀으로 가지 못해 리소좀 내 물질들을 분해할 수 없음 (ii) 테이-삭스 병(Tay-Sach's disease)헥소사미니데이스(Hexosaminidase) A 효소의 결핍, 상염색체 열성 질환-뇌세포의 리소좀에 갱글리오사이드(Ganglioside)가 축적됨지적 장애, 시력 상실, 근육 위축 등을 일으키며 어린 나이에 사망함 (iii) 폼페병(Pompe's disease)α-글루코시데..
진핵생물의 구조와 소기관 - 3 (미세소관,미세섬유,중간섬유) 세포골격 (i) 미세소관 : 세포의 뼈대 역할 수행, 세포를 가로질러 원거리 물질 수송 관여 기본 단위체 : 자유 튜불린(α튜불린 + β튜블린의 이량체 구조)>속이 빈 원통 모양으로 미세소관 중합체 형성 -(+) 말단 : β-튜불린 노출, (-) 말단 : α-튜불린 노출 *자유 튜불린 농도가 높을 때 미세소관 신장 -자유 튜불린 내의 α,β 튜불린이 모두 GTP가 붙은 상태일 때 친화력이 높아 미세소관에 결합함 -일정 시간이 지나면 β튜불린의 GTP가 GDP로 가수분해 되어 친화력이 낮은 형태가 됨 -미세소관 말단의 GTP가 가수분해 되기 전에 다른 자유 튜불린이 와서 붙으면 계속 신장됨 -동적 평형이 될 때까지 신장이 일어남 *자유 튜불린 농도가 낮을 때 미세소관 분해 -미세소관 말단의 β튜불린에 있던..
진핵생물의 구조와 소기관 - 2 (리소좀, 액포, 퍼옥시좀, 미토콘드리아, 엽롭체) 리소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핵산 등 많은 고분자 물질들을 가수 분해하는 30개 이상의 효소들을 지님 리소좀 막의 H+펌프가 내부를 산성 pH로 유지함 리소좀 내 가수분해 효소들은 pH 5.0가량의 산성 조건에서 가장 활성화됨 골지체에서 생긴 1차 리소좀이 엔도좀이나 파고좀, 오래된 세포 소기관을 파괴하기 위해 생긴 자가포식소체 등과 융합해 2차 리소좀이 되어 내부의 물질들을 가수분해 함. 자살 캡슐 : 리소좀이 파괴되어 가수분해 효소들이 세포질로 방출되면 세포 자신을 죽일 수 있음(세포질은 pH 7.0이기 때문에 소량 방출될 경우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음) 액포 식물세포에서 리소좀 대신 가수분해 기능을 수행함 액포 막의 H+ 펌프가 내부를 산성 pH로 유지함 양분, 색소, 노폐물, 독성 물질 등을 ..
진핵생물의 구조와 소기관 - 1 (핵,조면소포체,활면소포체,골지체) 핵(Nucleus) 유전 정보의 본체인 DNA 존재 → 유전자들이 전사됨 (i)핵질(nucleoplasm) - 핵 내부를 채우고 있는 반유동성 물질 핵질의 대부분을 염색질(Choromatin)이 차지 (DNA + 여러 가지 단백질들) 유전 정보들이 히스톤 단백질에 감긴 여러 개의 선형 DNA들에 나뉘어 존재함 (ii)인(Nucleolus) 과립 형태의 비정형 덩어리, 핵 내에 한 개 이상 존재 rRNA의 유전자 서열들이 모여 있어서 활발한 전사가 일어남 >전사된 rRNA는 인에서 리보솜의 40s 소단위체, 60s 대단위체로 각각 조립됨. 간기의 핵에서만 관찰되며, 세포 분열기(M기)DPSMS TKFKWLA (iii)핵막 인지질 이중층의 이중막 구조 핵공:50 kDa 이하의 물질들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들..
원핵생물의 구조와 소기관 - (세포막, DNA, 플라스미드, 리보솜, 선모, 편모, 세포벽) 원핵생물(Prokaryotes)은 핵막이 없고 세포질에 DNA가 풀어져 있는 것이 원핵생물의 특징이다. 진행 생물처럼 DNA를 가지고 있지만 진행 생물과 달리 원형 구조이다. 염색체 외에 여러 가닥의 작은 원형 DNA인 plasmid를 가지고 있지만 생존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하지만 있으면 유용한 유전자들이 유전자들이 위치한다. 세균은 대개 이분법을 통하여 번식한다. 유전자의 교환과 재조합은 여전히 일어나지만 이것은 단지 같은 것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며 두 세포들 사이의 DNA이동인 수평적 유전자 이동의 형태이다. 1. 세포막 세균 세포는 원형질막으로 감싸져 있다. 이 막은 세포의 기관들을 에워싸고 세포의 밖과 안을 구분해주는 막이 된다. 세균 중에 광합성 세균은 세포막에 ATP 합성 효소를 갖기도 한다..